본문 바로가기

세상썰기/취업

[취업십계명] ⑥ 떨어졌다고 결코 낙담 마십시오. 더 떨어져야 합니다.


[취업십계명] 6. 서류나 면접에서 떨어졌다고 결코 낙담 마십시오. 더 떨어져야 합니다.

  인간은 누구나 '단절감'과 '거절감'이라는 본원적인 두려움을 가지고 살아갑니다. 취업 과정에서 느끼는 수 많은 불합격 통보들은 이 거절감의 두려움을 직접적으로 건드리곤 합니다. 아무리 준비하고 각오해도 여전히 고통스러운 것이 거절감이죠. 하지만 취업의 과정에서는 이 거절감과 조금 더 친해질 이성적인 이유가 있습니다. 많이 거절 당할수록 합격의 확률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.


< 가슴아픈 불합격 통보. 그런데 직장은 어떻게 낳는거임? >


  원서를 많이 쓴다는 것은 더 많은 회사에게 채용의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.


  쉬운 이해를 위해 하나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. 한 사회가 취업지원자 100명으로 구성되어 있고, 취업할 기업도 100개라고 가정하겠습니다. 100명의 사람이 100개의 회사에 지원한다면 그 사회의 전체 경쟁률은 1:1입니다. 빈 자리도 노는 사람도 없이 모두가 각자 자리를 찾아 갈 수도 있는 환상적인 상황이죠.

  그런데 어느 회사에 누가 붙을지 취업준비생들은 불안합니다.그래서 100명의 사람이 각각 10개의 회사에 원서를 쓴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 이렇게 되면 이 사회의 전체 경쟁률은 10:1이 됩니다. 아마 능력이 좋은 사람은 10군데 다 붙겠고, 능력이 덜 좋은 사람은 경쟁에서 밀려 0.9군데쯤 붙을껍니다.

  지금 경쟁률이 10:1인 전체 취업시장에서 10명의 사람들이 원서를 50장 쓴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 그러면 사회 전체의 경쟁률은 14:1이 되지만, 원서를 많이 쓴 사람들의 합격 확률을 4-5개 까지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. 50장의 원서를 쓴 사람은 합격의 확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고, 더 많은 회사에게 자신을 뽑을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죠.

  설명을 위해 아주 단순화시킨 도식을 들었지만 이것이 사실 오늘날 대한민국의 취업 현실입니다. 불안감에 더 많은 취업 지원을 하고 더 많은 거절을 당하는 것이 오늘의 현실입니다. 안타깝게도 이 현실은 거스를 수 없습니다. 다만 더 많은 취업지원을 하고 더 많이 거절 당하는 것이 취업의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일 뿐입니다. 자연스럽게 더 많이 더 자주 거절당하게 되어 있습니다. 





  이 거절감은 여러분의 잘못이 아닙니다. 그렇기 때문에 불합격 통보가 주는 거절감에 의연하게 대처하는 것도 취업을 하며 익히게 될 중요한 능력의 하나라고 생각하면 어떨까요? 회사 생활을 하다보면 업무적으로나 인간적으로나 많은 거절감을 맛보게 됩니다. 거절감은 좀처럼 익숙해지기 힘들지만 대처할 준비를 한다면 잘 대면할 수 있습니다.

  현실적으로 여러분이 50장의 원서를 쓰면 훌륭한 사람은 한 20-30 군데에 서류 합격을 하고 인적성검사와 면접의 기회를 얻겠죠. 운이 좋은 사람은 5-10군데에 서류 합격을 할꺼고 그렇지 못한 대다수의 사람들은 5개 미만의 서류 통과와 함께 인적성과 면접을 보게 될 것입니다. 한군데의 기업에 들어가기 위해 45번의 거절을 당해야 한다는 느낌으로 준비하시기 바랍니다.



< 김희애 문성근 주연의 영화 '101번째 프로포즈'. 101번도 시도하네요. >


   전 한 학기동안 49장의 지원서를 썼습니다. 그중 제 서류를 1차통과 시켜준 회사는 딱 5군데였습니다. 그나마 그중 2곳은 면접 날짜가 겹쳐서 양자택일해야 했습니다. 그래서 제가 본 4번의 1차면접중 하나는 떨어지고 나머지 3군데에서는 임원 면접까지 갔죠. 임원면접에서 저를 합격시켜준 회사도 딱 한군데였고, 지금은 그 회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.


  물론 무조건 덮어놓고 많이 지원하는게 능사는 아닙니다. 다만 많은 학생들이 자기가 갈 회사를 나름의 기준에 의해 '엄선'하는 것을 보면서 과연 그게 맞는 전략인가 하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. 구직할 수 있는 기간은 1~2년 정도이고, 졸업예정학기를 한번 넘기면 바로 1년 후배들이 밀고 들어옵니다. 물 들어왔을 때 노 저어야 한다는 말이 있듯이, 기회가 있을 때에 최대한 많은 양의 기회를 잡는 것이 합격의 가능성을 높여준다는 것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.



- Fin -